고구려는 왜 전성기 때 삼국통일은 하지 못했을까?
별별역사 별별역사
600K subscribers
457,811 views
5.3K

 Published On Aug 29, 2024

[참고문헌]

-이도학, 「高句麗의 內紛과 內戰」, 『고구려발해연구』 24, 2006, p.9-40.
-김병곤, 「고구려의 평양 천도 기획 시점과 남진」, 『고구려발해연구』 39, 2011, p.73-95.
-장창은, 「4~5世紀 高句麗의 南方進出과 對新羅 關係」, 『고구려발해연구』 44, 2012, p.9-57.
-노태돈, 「광개토왕대의 정복활동과 고구려 세력권의 구성」, 『한국고대사연구』 67, 2012, p.5-26.
-정명광, 「고구려 광개토왕대의 후연 정벌」, 『백산학보』 2012, p.83-127.
-구대열, 「장수왕의 외교정책」, 『국제정치논총』 50, 2010, p.115-139.
-정원주, 「安藏王의 始祖廟 親祀와 政局運營」, 『백산학보』 2013, p.163-202.
-이정범, 「5~6세기 고구려의 한강유역 지배형태」, 『고구려발해연구』 51, 2015, p.73-100.
-이일도, 「4~5세기 동북아시아의 정세와 濟羅同盟」,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, 2018.
-이기동·박창화, 「高句麗의 勢力圈 遼東에 對한 地政學的 考察」, 『고구려발해연구』 21, 2005, p.291-304.
-김선숙, 「4-6세기 고구려의 지방운영체제에 대한 일고」, 『한국학(구 정신문화연구)』 37, 2014, p.35-62.
-복기대, 「고구려 국내성 및 환도성 위치 연구」, 『인문과학연구』 65, 2020, p.171-199.
-오현준, 「5세기 동북아시아 국제정세와 고구려의 대(對)남방정책」,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, 2017
-최진열, 「고구려의 농업 -토지 비옥도와 인구·곡물 생산량의 관계를 중심으로」, 『영토해양연구』 26, 2023, p.117-166.
-趙宇然, 「4~5세기 고구려 정치체제」, 『고구려발해연구』 28, 2007, p.133-165.
-박찬우, 「5세기 삼국의 대외 위기의식과 전쟁 -평양 천도에서 한성 함락까지-」, 『한국고대사연구』 2023, p.167-202.
-신정훈, 「長壽王 5年~長壽王 7年 동아시아의 정세와 高句麗의 동향」, 『국학연구론총』 2019, p.373-408.
-김병남, 「496년 고구려의 우산성 공격 의미와 나⋅제의 대응」, 『전북사학』 2019, p.5-34.
-위가야, 「472~475년 백제 · 고구려의 對북위 외교전과 한성 함락」, 『고구려발해연구』 66, 2020, p.29-56.
-김현숙, 「고구려의 한강 유역 진출과 양주」, 『선사와 고대』 2024, p.87-114.
-김덕원, 「삼국시대 동맹의 성립과 영향」, 『군사』 2023, p.1-40.
-서지영, 「5세기 羅·麗 관계변화와 〈中原高句麗碑〉의 建立」, 『한국고대사연구』 68, 2012, p.101-136.
-최영인, 「4세기 후반 ~ 5세기 초반 고구려의 남진과 임진강 유역 지배방식」,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, 2020
-최일례, 「장수왕대 고구려의 對中外交와 그 動因」, 『한국고대사연구』 71, 2013, p.239-279.
-김병곤, 「고구려의 평양 천도에 대한 신라의 양단책」, 『사림』 2011, p.111-135.
-선석열, 「한강유역 쟁탈을 둘러싼 삼국의 동맹과 외교」, 『역사와 세계』 44, 2013, p.81-119.
-장창은, 「삼국시대 전쟁의 발발과 시대적 의미」, 『신라사학보』 2019, p.33-93.
-박종서, 『고구려 장수왕대 한강유역 진출과 南進路 운영 』 (서울역사편찬원, 2023)
-윤경진, 「고구려·고려의 영토의식과 한강 - 고구려의 한강이남 영유 문제에 대한 새로운 접근 -」, 『서울학연구』 2020, p.73-106.
-기경량, 「‘일통삼한 의식’과 표상으로서의 ‘삼한’」, 『역사비평』 2019, p.208-239.

show more

Share/Embed